본문 바로가기
Network

[Network] OSI 7 Layer, TCP/IP

by happyhelen 2024. 2. 21.

OSI 7계층이란?

네트워크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 정한 약속이자 네트워크 모델이다.

통신 규약을 프로토콜 이라고 하고 OSI 7계층은 이 것을 설명하는 네트워크 모델이다.

OSI 7계층을 하나씩 설명하면서 TCP/IP 프로토콜과 연관지어 설명하겠다.

 

 

 

 

1. 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

  • 기계적,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
  •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 사이로 비트형식(01001010...) 전송

 

2.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Link Layer)

  • 직접 연결되어있는 장치 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
  • 하위 계층인 물리 계층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흐름제어(노드 간의 보조 맞추기)혹은 오류제어 등의 방법으로 검출하고 수정
  •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받아온 패킷을 프레임 단위로 구성해 이 계층의 데이터 단위가 프레임이 됨

 

TCP/IP 링크 계층(Network Interface)

  • 이 두 범위의 네트워크 계층은 TCP/IP 프로토콜에서 링크 계층(Network Interface) 으로 구분되며 전선, 광섬유, 무선 등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장치 간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이다. 네트워크 접근 계층이라고도 한다.

3. 네트워크 계층

  • 데이터 링크 계층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지 않은 목적지로의 경로를 설정
  • 네트워크 주소인 IP를 정하고 경로를 선택하는 라우팅 기능을 수행
  • 전송 단위는 패킷

 

TCP/IP 인터넷 계층(Internet)

  • 장치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패킷을 IP주소로 지정된 목적지로 전송할 때 사용되는 계층이고 상대방이 제대로 받았는지 보장하지 않는 비연결형적인 특징이 있다.

 

4.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
  • 송신자와 수신자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
  • 상위 계층인 세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세그먼트라고 하는 단위로 그룹화하는데, 이 세그먼트에는 발신지와 목적지 포트 정보 내재
  • 오류와 흐름 제어, 전송 속도 조절, 다중화 수행, 신뢰성 있는 연결을 제공

 

TCP/IP 전송 계층(Transport)

  • 애플리케이션과 인터넷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 될 때 중계 역할을 하며 TCP, UDP 가 대표적
  • TCP : 신뢰성 O, 패킷 순서 보장, 수신 여부 확인
  • UDP : 속도 빠름, 신뢰성 X, 순서 보장 X, 수신 여부 확인 X, 단순히 데이터를 전달하기만 하고 handshaking 없음

5. 세션 계층(Session Layer)

  • 세션이란 통신의 시작될 때 부터 종료될 때 까지의 시간이며, OS를 통해 통신을 시작하고 종료하는 일을 담당

 

6.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

  • 데이터를 어떻게 표현할 지, 즉 형식을 결정
  • 암호화, 복호화, 압축 담당

 

7.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

  • 사용자와 직접 상호 작용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전달하는 역할
  • HTTP, SMTP, FTP 등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계층

 

TCP/IP 애플리케이션 계층(Application)

  •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이자 프로그램 실행을 제공

 

 
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Network] API? REST API?  (0) 2021.09.06